본문 바로가기
ETF

국내 탄소배출권 투자 ETF 4개 정리

by 제품 정보 상자 2021. 9. 29.

9월 신규 상장 ETF 가운데 가장 주목받고 있는 ETF는 탄소배출권 ETF입니다. 국내에서는 상장 예정 종목을 포함해 9월 중 총 6개의 ETF가 상장됩니다. 신규 ETF 상장 속도는 둔화됐지만 ‘탄소배출권’이라는 새로운 투자처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1. 탄소배출권 전망 

단기 조정 가능성에도 글로벌 정책 방향성과 이슈 측면에서 중장기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EU를 선두로 주요국 정부는 탄소세 부과나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ETS, Emissions Trading Systems)를 도입해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중 ETS를 통해 거래되는 물량 비중은 2020년 10.0% 수준이었으나 올해 7월 중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소 출범으로 2021년 16.3%까지 올라선 상황입니다. 

글로벌 탄소 중립 정책과 맞물려 탄소배출권 거래 비중 및 적용 범주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일례로 EU가 ‘Fit for 55’ 패키지를 통해 ETS 도입 산업군을 해운, 도로, 건 설 부문까지 확대한 바 있습니다. 다가올 '제26차 유엔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총회' (COP26, 11/1~12일 예정)에 서는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 공약 및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 제안 등이 주목됩니다. 

 

각국 정부의 강력한 정 책 및 규제 압력에 의해 기업들은 저탄소 전환에 나설 것이나 에너지 전환의 과도기에 있는 만큼 탄소 배출 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탄소배출권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Refinitiv 설문에 의하면,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가운데 날씨 및 에너지 시장이나 금융투자자의 영향보다 기후 정책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국내 4개의 탄소배출권 ETF

탄소배출권 ETF 투자시 유동성, 환헤지 여부 등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상장 예정인 탄소배출권 ETF는 크게 유럽과 글로벌 탄소배출권 선물로 나뉘며, 기초지수의 정기 변경 (롤오버)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현재 유럽 탄소 배출권 (EUA)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단기 조정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2020년 기준 전체 탄소배출권 시장 대비 규모 비중이 80% 달하는 유럽 탄소배출권에 대한 투 자가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럽의 경우 재봉쇄로 인해 이연 된 경기 회복세가 나타나면서 유로화 강세가 나타날 수 있기에 환헤지 상품이 유의미해 보입니다. KODEX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 ICE(H) (400570)의 경우 환헤지를 적용하고 있고, AP/LP 참여사가 7개로 여타 ETF(2개) 대비 많아 유동성이 확보되는 만큼 거 래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상장 예정 탄소 배출 ETF 4개] 

ETF명 운용사 기초지수 총보수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삼성자산운용 ICE EUA Carbon Futures Index(ER) 0.64
HANARO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 NH아문디자산운용 ICE Global Carbon Futures Index (ER) 0.50
SOL 유럽탄소배출권선물S&P(H) 신한자산운용 S&P GSCI Carbon Emission Allowances (EUA) 0.55
SOL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HS(합성) 신한자산운용 IHS Markit Global Carbon Index (TR) 0.55

HANARO 글로벌탄소배출권선물ICE(합성)은 ICE Global Carbon Futures Index (ER)를 기초 지수로 추종하며 운용사는 NH아문디 자산운용입니다. 신탁원 본액은 80억 원입니다. 

 

신한 자산운용에서는 SOL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 S&P(H), SOL 글로벌 탄소배출권 선물 IHS(합성) 출시하며 신탁원 본액은 각각 100억 원 80억 원입니다.  

 

4개 ETF 는 국내 최초로 상장되는 탄소배출권 ETF로 시장이 커지는 상황에서 중요한 투자수단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