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ETF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개별기업은 분석, 투자, 성과를 내기까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투자를 시작한 주린이 초보 투자자들은 큰 어려움이 있습니다. ETF는 개별기업 투자보다는 변동성이 적기 때문에 투자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1. ETF란?
한국거새소 ETF (Exchange Treaded Fund : 상장지수 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를 "KOSPI200과 같은 특정 지수 및 특정 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로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유통)되는 펀드입니다. 즉 펀드르 상장시켜 주식처럼 사고파는 상품입니다.
2. ETF 투자 장점
ETF 는 펀드와 주식의 중간적 성격으로 1) 손쉬운 분산투자 2) 다양성 3) 유동성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시장 규모를 확대 중입니다.
1) 손쉬운 분산투자
ETF는 금액적 측면, 투자 대상의 선정이라는 측면에서 분산 투자를 용이하게 해줍니다. 한국의 대표 지수인 KOSPI 200을 주식으로 복제하기 위해서는 21억 44만 원이 필요한 반면 KOSPI 200을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인 TIGER200, KODEX200을 매수하게 되면 각각 4만 원 정도입니다. 종목 리밸런싱, 배당금 취합 등도 운용사에서 처리해 둡니다. 투자 대상 선정 측면에서도 ETF 운용사 차원에서 한 차례 종목 선정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 편리성을 제공합니다.
2) 다양성
글로벌 ETF, ETN 종목수는 9154종목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미국 낸 상장 종목 수만 2520 종목으로 주식, 채권, 원자재, 부동상을 비롯한 다양한 자산을 대상으로 ETF, ETN이 성장하였습니다.
초기 ETF는 대다수가 대표지수 ETF, 산업추종 ETF 였습니다. 이후에는 종목별 특성의 유사성을 중심을 ㅗ배당, 모멘텀, 저변동 등 특성에 중심을 둔 스타일 ETF가 등장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태양광, 친환경, 로봇 등 사회를 근본적을 변화시키는 업종, 산업, 수동형 투자가 아닌 운용자가 종목을 적극적으로 편 출입하는 액티브형 ETF 시장이 빠르게 성장 주입니다.
실제로 미국 성장 ETF 중 테마형 ETF는 빠르게 성장 중이며 200년 초 코로나 19를 계기로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2021년 2분기말 173개 종목, 1432억 달러로 원화 약 170조 원 규모 이 빈다. 4차 산업 혁명으로 대표되는 혁신 기술의 도입이 배경이며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은 기술을 바탕으로 2016년도부터 본격적인 주가 성장을 시작하였습니다. 투자자들 역시 단일 지수, 업종보다는 세분화된 테마형 ETF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미국 ETF 유형별 분류]
주식 | 채권 | 원자재 | 부동산 | 통화 | 대안자산 | 멀티에셋 | 변동 |
시가총액별 | 국채 | 농산물 | 실물리츠 | 달러 | 해지펀드 | 멀티에셋 | 변동성 |
전략별 | 지방채 | 에너지 | 모기지리츠 | 스위스프랑 | 롱숏 | ||
지역별 | 회사채 | 금속 | 유로 | 합병차익 | |||
섹터별 | 물가연동채 | 귀금속 | 엔화 | ||||
스타일 | 만기고정채 | 위안화 | |||||
테마 | 뱅크론 |
3) 유동성
해외 지수 투자 시 ETF의 결재일은 주식과 동일, 펀드 대비 빠르게 현금화, 해외 ETF는 거래도 풍부합니다. 운용자산 기준 최대 ETF 인 SPY의 3개월 평균 일간 거래 대금은 268억 달러에 달합니다.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및 해외 반도체 ETF 정리 (0) | 2021.10.07 |
---|---|
개인연금저축 ETF 포트폴리오 추천 (0) | 2021.10.06 |
해외 원유 및 천연가스 ETF 알아보기 (0) | 2021.10.03 |
국내 탄소배출권 투자 ETF 4개 정리 (0) | 2021.09.29 |
리오프닝 수혜 ETF 정리 : JETS / PEJ / AWAY (0) | 2021.09.29 |
댓글